유통업계 앞다퉈서 메타 커머스 시대 깃발 꽂기 나서고 있다고 합니다. 과연 실속은 있을까? 하는 궁금증과 현실적 벽 높아서 일화성 유행을 벗어나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입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유통업계 메 타 버스 활용 사항.
유통업계가 메타버스에 앞다투어 뛰어들고 있습니다. CU, 이디야 커피 등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네이버 플랫폼인 제페토에 가상 매장을 열었다는 소식입니다.
독자적 매타 버스 세계를 구축하려는 움직임도 있으며 롯데그룹은 최근 빅데이터 기업 바이브 컴퍼니와 엄무협약을 체결하였였다고 합니다.
바이프 컴퍼니는 현실 공간을 가상에 구현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롯데그룹은 이 기술을 활용해 자체 메타버스 플랫폼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현제 유통업계가 메타버스에 기대한 것은 마케팅 효과입니다.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향후 메타 커머스 시장을 선점하려는 전략입니다. 메타버스가 시장성을 증명하는 사례도 이미 있습니다. 가상현실 게임 로블록스에서 구찌의 가상 상품 이오 니소스가 한화 400만 원이 넘는 가격에 팔렸다고 합니다.
디오니소스의 원래 가격 6000원이었지만, 공식 판매 중단 후 리셀러가 치솟았습니다. 가상 상품이라도 수요가 있음을 증명한 사례입니다.
그럼에도 메타버스 시장을 바라보는 시선은 엇갈린 모습입니다.
일단은 전망 자체는 밝습니다. 이머전 리서치는 오는 2028년 글로벌 메타버스 과련 시장 규모가 1000조 원에 달한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는 지금부터 연평균 43.3% 성장해야 달성할 수 있는 수치입니다.
페이스북은 사명까지 메타로 바꾸면서 메타버스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애플과 삼성 등 스마트 디바이스 업계 선두들도 메타버스를 활용하는 데 주력합니다. 이런 시도들이 메타버스의 영향력을 빠르게 끌어올릴 수 있다는 분 것입니다.
2. 메타버스 열풍으로만 끝이 날까?
메타버스가 마치 새로운 것처럼 각광받고 있지만 세컨드 라이프 등 과거 가상현실 게임과 단점을 제사 히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실제로 한 해외 매체는 메타버스는 헛소리라는 제목의 칼럽으로 직격탄을 날리기도 했습니다.
메타의 자회사에서 최고 기술 책임자(CTO)로 일했던 존 카맥도 메타버스 열풍을 비판했습니다. 사업화에 필요한 기술적 문제 해결보다 가상현실이라는 개념에 먼 열광하고 있다는 주장이었습니다.
3. 플랫폼 시자의 구조적 한계도 무시할 수 없다.
메타버스가 메타 커머스로 나아가려면 현실과 비슷한 수준의 인구가 활동하는 무대가 마련돼야 합니다. 이 정도 규모의 메타버스 플랫폼이 나타날 가능성은 낮습니다.
국내외 기업이 앞다퉈 메 타머스 플랫폼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향후 메타버스 플랫폼이 난립하는 상황이 펼쳐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경우 메타 커머스 사업의 효율성은 낮아집니다. 다양한 플랫폼을 커버하는데 필요한 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습니다. 메타버스는 코로나19를 계기로 주목받았으며 오프라인 활동이 제한되고, 현실에서의 소비가 어려워졌습니다.
자연스럽게 사람과 돈이 온라인으로 향했습니다. 이런 상황은 코로나19 이후 바뀔 수 있습니다.
장기운 영도 보장되지 않습니다. 신기술인 적용된 플랫폼이 얼마든지 기존 플랫폼을 대체할 수 있습니다. 이는 메타 커머스에 대한 신뢰도 저하로 이어집니다. 자신이 구매한 가상 상품의 가치가 장아찔 수 있어서입니다.
메타버스에 대한 접근 방법이 틀렸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현제 글로벌 메타버스 시장은 개념을 잡아가는 단계입니다. 수익모델에 대한 논의는 사실상 없습니다.
반면 국내에서는 가상화폐, 대체 불가 토큰(NFT) 등이 미래 가치에만 집중해 매타 버스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메타버스의 활용방법을 연구하기보다 돈이 될 수 있다는 희망에만 기대고 있습니다. 국내 유통업게도 마찬가지입니다. 메타 커머스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기보다 경쟁과 마케팅 카드로 메타버스를 소모하고 있습니다.
4. 유통업계 매타 버스에 보다 신중히 접근해야...
메타버스에 대한 깊이 있는 고민이 없다면 '황금알을 낳는 거위'를 놓칠 수 있습니다.
물론 넘야 할 산은 많습니다. 상품을 가상으로 구현하고, 가상 체험을 주는 정도로는 부족합니다. 이것을 현실과 연결시키기 위한 기술, 콘테츠가 필요합니다. 글로벌 시장이 무대가 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각국 시장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도 구축해야 합니다.
이것이 메타 커머스 시장을 개척하기 위한 선결 조건입니다.
정부의 역할도 중요합니다. 정부차원에서 메타버스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한 정책적 기반을 갖춰줘야 합니다.
나아가 메타버스 내 법적, 윤리적 문제를 처리할 수 있는 제도도 마련해야 합니다. 메타버스에 대한 사회의 신뢰를 높여야만 관련 산업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커머스 시장이 성장한 후에야 규제에 나섰던 과거를 반복해서는 안된다는 의견 많습니다.
물론 미래는 누구도 알 수 없습니다. 메타버스가 메타 커머스로 진화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스마트폰과 인터넷도 초기에는 쓸모없는 것으로 치부됐습니다. 초기 컴퓨터 역시 단순 텍스트를 출력하는 기계에 불과했습니다.
이들의 잠재력에 주목하고, 다양한 실험을 이어간 기업들이 오늘날 세계 주요 기업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메타버스가 제2의 컴퓨터가 될 가능성은 충분하다 합니다. 국내 유통 기업이 대표 메타 커머스 기업으로 인정받는 미래를 기대해 봅니다.
'산업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산]-시스템 반도체 테스트에 진출 하다. (0) | 2022.03.12 |
---|---|
LFP 배터리VS삼원계 배터리- 혼돈의 전기차 배터리 시장 (0) | 2022.02.06 |
SK이노베이션- 전기차 주행거리를 2배로 늘릴수 있는 꿈에 배터리 개발착수하다. (0) | 2022.01.24 |
포스코 /수소산업의 미래를 위해 도전하다. (0) | 2022.01.10 |
포스코- 수소는 스틸을 타고 / 그린수소 사업모델 (0) | 2021.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