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lig넥스원 중동 무기수출 2.6조 원 무기수출 달성하였고 중동사업 부분에서 포스코, 두산중공업도 중동과 손잡을 계획이라 합니다. 관련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LIG, UAE에 2.6조 원 무기수출을 하다. 

LIG넥스원의 천궁2 이미지  출처 : LIG넥스원 

LIG넥스원이 아랖에미미트(UAE)와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천궁 2) 수출 계약을 체결하였다고 합니다. 

거래대금은 약 2조6000억원으로 단일 유도무기 수출로 국내 방위산업 역사상 최대 규모입니다. 

 

천궁 2는 탄도탄과 항공기 공격에 동시 대응하기 위해 개발된 국낸 기수로 중거리, 중고도 지대공 요격 체계입니다. 

천궁 2 개발과 생산엔 LIG넥스원, 한화, 기아 등 대기업과 중견, 중소업체가 참여하였으며 이번 대규모 수출 성사로 일자리 창출과 국가 산업 경쟁력 향사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번 무기 수출로 그동안 해외 사업 전문 인력 확보 및 전문 조직 실 설 등의 투자가 결실을 맺었다는 평가를 받으며 2006년 국산 무전기 첫 수출을 시작으로 미국, 콜롬비아, 인도네시아, UAE 등에 순차적으로 현지 사무소를 개소하며 해외 사업을 확대하고 또 국내 최초로 중남미, 동남아 국가에 각각 함대함 유도무기와 휴대용 지대공 유도무기를 수출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2, 포스코,삼성물산- PIF, 그린 수소 맞손을 잡다. 

포스코,삼성물산 로고 이미지 출처 각각홈페이지 

포스코와 삼성물산이 사우디아라비아 국부 펀드 PIF(Public Investment Fund)와 그린 수소 생산 사업 협력을 추진하기 로협이 포스코, 삼성물산, PIF는 사우디 리야드에서 개최된 한국-사우디 스마트 혁신성장 포럼에서 문제인 대통력이 참석한 가운데 그린 수소 사업 협력 강화를 주요 내용으로 한 3자 간 양해각서를 체결하였다는 소식입니다. 

 

3사는 이번 MOU를 통해 사우디 현지에서 신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그린 수소를 생산하는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한다고 하며 올해 안에 사어 부지를 선장 하고, 사업타당성 검토를 완료한다는 계획이며 향후에도 3사는 수소 사업 밸류체인 확장, 수소경제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협력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포스코는 2050년 까지 총 700만 톤의 수소를 생산하는 글로벌 TOP수소 생산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외해 중장기적으로 2030년 까지 10조 원을 투자해 수소 생산 50만 톤 체제를 구축할 예정입니다. 

 

3. 두산 중공업, 사우디 주, 단도 합작사 설립하다. 

두산중공업로고와 친환경 발전 풍력발전 이미지  출처: 두산중공업

두산중공업이 사우디 내에 주,단조 합작회사를 설립한다는 소식입니다. 

주단조는 금속을 가열해 용해시킨 뒤 주형에 주입해 일정한 형태의 금속 제품을 만드는 '주조'와 금속 재료를 일정한 온도를 가영한 다음 압력을 가해 특정 형체를 만드는 단조의 합성어입니다. 

 

두산 중공업은 최근 사우디 산업투자공사 두수르, 사우디 아람코의 완전 자회사인 사우디 아람코 개발 회사와 TWAIG Casting & Forging 설립을 위한 주주 간 협약 수정안을 체결하였다고 합니다. 

 

합작회사는 사우디 아라비아 동부 주 베일 인근의 조선 산업단지에 건설될 계획이고 올해 공사를 돌입해 2025년 1 분기완공될 예정이며 공장은 40만 제곱미터의 면적에 연간 6만 톤의 주·단조품을 생산할 수 있는 규모로 제강, 주·단조-가공까지 일괄 생산이 가능한 사우디 최대 규모의 주·단조 공장이 될 전망이라 합니다. 

 

앞으로 두산 중공업은 풍력 발전 플랜트, 발전 플랜트요 주·단조 제품까지 생산 영역을 확대할 계획이라 합니다. 

 

또 이집트에서 해수 담수화 사업 협약을 체결하며 이집트 담수 시장에도 진출할 계획이고 이집트 디벨로퍼 (개발사업자)겸 대형 건설사인 핫산 알람, 사우디, 스페인 합작자인 알마르 워터 솔루션즈와 RO(역삼투압) 방식의 해수담수화 프로젝트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하였고 이번 협약을 통해 이집트 수에즈 운하 중간 지점에 있는 항구도시 이스마일리아 지역에 하루 총 100만 톤 규모의 담수를 생산하는 해수 담수화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라 합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두산중공업, PEF에 두산건설'경영권 이전 '그룹, 건설 재투자하고 중공업도 지분 남겨 두산, 채권단 체제 조기 조기졸업 성사 여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두산중공업은 두산건설 경영권을 투자목적회사(SPC) 더 제니스 홀딩스에 이전한다는 공시를 하였다고 합니다. 2010년 미분양 사태 이후 그룹을 유동성 위기에 내몬 두산건설을 결구 때어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경영권 이전 이 지분 매각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현재 두산중공업이 보유 중인 두산건설 지분 (99.99%)을 파는 것이 아니란 얘기입니다. 대신 사모펀드가 출자 참여한 데 제니스 홀딩스가 두산건설 유상증자에 참여해 지분 54%를 확보는 것이 아니란 얘기입니다. 

 

대신 사모펀드가 출자 참여한 더 제니스 홀딩스가 두산건설 유상증자에 참여해 지분 54%를 확보, 경영권을 가진 구조입니다. 그런데 애매한 구석이 적잖습니다. 복잡하고 독특한 두산건설 경영권 이전 과정을 다시 들여다봤습니다. 

두선건설 이미지 출처: 두산건설

 

두산건설 경영권 이전은 크게 3단계로 나뉩니다. 

  1. 국내 사모펀드(PEF) 큐캐피털파트너스 등 6곳이 1380억 원을, 두산그룹의 부동산 관리 회사 디비씨(DBC)가 1200억 원을 각각 투자해 SPC 위브 홀딩스를 설립합니다. 
  2. 위브 홀딩스가 현금 2580억 원을 투자해 지분 54%를 확보합니다. 
  3. 더 제니스 홀딩스 두산건설이 추진하는 유상증자에 2500억 원릉 투자해 지분 54%를 확보하였습니다. 두산중공업 자회사였던 두산건설이 지배구조는 위프 홀딩스→더 제니스 홀딩스→두산건설로 바뀌는 것입니다. 

두산건설 경영권 이전 과정 설명 이미지 

1. 건설 리스크 끊자... 고육지책 발동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디비씨가 1200억 원을 투자해 위브 홀딩스 지분 46.5%를 확보한다는 점입니다. 

디비씨는 올해 초 준공된 두산 분당 센터를 짓기 위해 2017년 설립된 부동산 관리회사입니다. 디비씨 지분은 두산 46%, 두산중공업 27.01% 두산 밥캣 코리아 22.89% 등이 나눠갖고 있습니다. 

 

결국 두산 건설 경영권 이전 가격 2500억 원 중 1200억 원이 두산 그룹 주머니에서 나온 셈입니다. 사모펀드 입장에선 1380억 원으로 두산 건설의 경영권을 확보했다는 얘기가 됩니다. 

 

두산그룹이 두산건설 경영권을 이전하는 구조를 짜면서 디비씨가 전략적 투자자로 나선 이유는 뭘까? 업계에선 두산그룹이 두산건설에 재투자하는 방식으로 사모펀드에 안전장치를 마련해 준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두산건설은 부실자산을 때어낸 배드 컴퍼니인 밸류 그로스를 물적 분할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두산건설이 밸류 그로스 지분 74.75%를 보유하고 있는 구조라 위험이 전이될 가능성도 남아있는 상황입니다. 

 

두산 구릅 입장에선 향후 두산건설이 정상화됐을 때 디비씨가 보유한 위브 홀딩스 지분을 통해 투자회수에 나설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두산그룹은 두산건설 리스크를 끊어야 채권단 관리 체제를 조기 졸업할 수 있다고 하며 그렇다고 헐값에 두산건설을 넘길 수는 없으니 고육지책을 짜낸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2. 두산중공업-후순위 출자

두산중공업이 두산건설 보통주 8200만 5761주와 우선주 564만 9462주를 더 제니스 홀딩스에 현물 출자했다는 점입니다. 

1200억 원 규모입니다. 두산 중고 업 입장에선 두산건설 주식과 더 제니스 홀딩스 주식을 바꾼 셈입니다. 

이로써 디비씨는 위브 홀딩스가 주주로 두산중공업은 더 제니스 홀딩스의 주주로 각각 이름을 올리게 됩니다. 모두 최대주주는 아닙니다. 

지난 9월 기준 두산 중공업은 두산건설 보통주 3억 45만 227주(93.54%)와 우선주 2069만 8755주(6.45%)등 총 3억 2115만 982주(99.99%)를 갖고 있습니다. 

 

두산중공업이 보유한 두산건설 주식의 27%가량을 더 제니스 홀딩스에 현물 출자한 것입니다. 

두산건설 주식을 현물 출자한 두산중공업은 더 제니스 홀딩스의 후 순의 출자자가 됐습니다. 현금 2580억 원을 투자한 위브 홀딩스가 선순위 출자자입니다. 향후 두산건설을 매각할 경우 두산중공업보다 위브 홀딩스가 우선적으로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3. 두산중공업, 건설 팔고 받은 돈 0원?

유상증자 방식에 주목해야 합니다. 두산건설은 더 제니스 홀딩스를 상대로 2500억 원 규모 3자 배정 방식의 유상증자를 잰 행 합니다. 더 제니스 홀딩스가 두산중공업이 보유한 두산건설 구주를 인수하는 것이 아니라, 두산건설이 발행하는 신주(주당 1,369원)를 2500억 원에 사는 것입니다. 두산 건설 경영권을 넘기는 두산 중공업으로 유입되는 현금은 한 푼도 없다는 얘기입니다. 

 

두산건설은 2500억 원이 수혈되면 재무구조가 대폭 개선됩니다. 

유상증자를 완료하면 두산건설 부채비율은 429%에서 236%로 낮아질 것으로 분석됩니다. 그간 과도한 부채비율 탓에 시공능력 평가와 신용평가 등에 받았던 불이익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됩니다. 이자비용 감소와 수주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4. 경영권 이전한 건 맞나?

경영권 이전 거래가 완료되면 더 제니스 홀딩스가 두산건설 지분 54%를 가지게 됩니다. 두산중공업이 보유한 두산건설 지분은 현재 99.99%에서 46%로 낮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두산건설의 최대주주가 두산중공업에서 더 제니스 홀딩스로 바뀌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번 거래가 완료되더라도 논란의 불씨는 남을 수 있습니다. 

두산그룹과 두산건설의 연결고리가 완전히 끊어졌는지 여부입니다. 펴면 적으로 더 제니스 홀딩스가 두산건설의 지분을 절반 이상 확보한 만큼 경 역권을 이전됐습니다. 

 

두산그룹 내부에서도 두산 건실이 그룹의 품을 떠났다고 해석하는 분위기입니다. 향후 추가 출자 리스크 등이 제거됐다는 것입니다. 

 

더 제니스 홀딩스는 앞으로 400억 원의 두산건설 전환사채도 인수할 예정입니다. 자구안 이행에 따라 두산그룹의 채권단 관리 조기졸업도 급물살을 탈 수 있을 전망입니다. 

 

하지만 일각에선 두산그룹과 두산건설의 연결고리가 여전히 남아있는 걸 미심쩍게 보고 있습니다. 

두산그룹의 계열사인 디비씨가 두산건설 지배구조 최상위의 위브 홀딩스 지분 46.5%를 보유하고 있는 점 또 두산중공업이 1200억 원가량의 현물 출자를 근거로 해서입니다. 

 

산업은행 등 채권단 관리에서 일찍 벗아 나기 위해 눈 가리고 아웅 식의 거래구조를 만들었다는 해석입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두산그룹이 두산건설 경영권을 이전했다고 하지만, 딜 구조를 보면 1380억 원 정도의 사모펀드 투자를 유치한 것에 그친다고 해석해도 무리는 아니다고 합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두산중공업, 세 분기째 흑자로 전환하며  두산 밥켓 -하드 캐리 부채비율 200% 낮추어지면 채권단 관리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두산 중공업이 올 들어 3분기째 흑자를 있어가고 있습니다. 

흑자규모는 크지는 않지만 안정적인 궤도에 올라탔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부채비율이 200% 아래로 떨어지며 재무 건전성이 개선됐다는 점이 눈에 띄는 점입니다. 작년부터 뼈를 깎는 재무구조 개선 계획(자구안)을 이행하고 있는 두산중공업이 채권단 관리 체제를 조기 졸업한 여건이 마련됐다는 전문가 들의 평가입니다. 

두산중공업 공장 전경 이미지 

1. 실적,수주, 재무 3박자를 갖추다. 

두산 중공업의 올해 3분기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은 3조 460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배 5.4% 감소했습니다. 

지난 8월 두산 인프라코어(현 현대 두산인프라코아)를 현대중공업 그룹에 매각(거래 종결 기준) 영향으로 매출인 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1-1. 두산중공업 분기별 실적(연결재무제표 기준)

산중공업 분기별 실적(연결재무제표 기준)  출처 : 두산 중공업

두산종공업의 올해 3분기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은 3조 460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4% 감소하였고 지난 8월 두산 인프라코어(현 두산 인프라코어)를 현대 중공업 그룹에 매각(거래 종결 기준) 영향으로 매출이 준 것으로 분석되고 이익은 두산 인프라코어의 공백이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이 기간 영업이익 2431억 원으로 전년 동기(인 파르 코어 매각 전 기준 0 대비 41.6% 증가했습니다. 

 

두산중공업은 작년 4분기 238억 원의 영업손실을 낸 이후 올 1 부닉 3721억 원, 2분기 2546억 원 등으로 흑자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바닥을 친 수주가 살아난 덕입니다. 올 누계 수주는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한 3조 7195억 원이고 국내, 외 대형 EPC(설계, 조달, 시공) 프로젝트의 공정 초과, 원가, 재무개선 활동 등의 영향으로 매출과 영업이기 등이 개선됐습니다. 

 

4분기에도 수주 호조가 계속될 것으로 보고있습니다. 

EPC 계약을 이미 체결해 연내 수주로 인식될 국내, 외 프로젝트를 포함하면 4분기 도 약 3조 원 규모 수주가 가능하다고 하며 여기에 매년 발전, 기자재 서비스 부문에서 발생하는 약 1조 2000억 원의 수주도 예상된다고 회사 관계자가 밝혔습니다. 

이어서 올해 수주 목표 8조6000억원 달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또한 재무구조도 개선되고 있고 지난 9월말 기준 부채비율(관리 연결)은 186.6%를 기록했습니다. 

부채비율은 올해 3월 246.2%,6월말 205%로 하향 추세를 그려오다 이번에 적정선(200%) 아래로 떨어졌다고 합니다. 

 

1-2. 사측설명

현물 추자와 자본 증가 등으로 재무구조가 개선됐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2. 두산중공업 이익 절반은 두산 밥켓 몫이다. 

두산중공업 보체 실적이 전성기 시절로 회복됐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실적만 볼 수 있는 별도 재무제표 기준 지난 3분기 매출은 910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3% 증가했습니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434억 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2431억 원인 점을 보면 실적 기여도가 5분의 1의 채 되지 않는 셈입니다. 

연결기준 이익의 대부분은 자회사가 만들었습니다. 캐시카우(현금 창출 능력이 뛰어난 사업 부문)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는 두산 밥켓이 대표적입니다. 

 

두산인프라코어를 매각 과정에서 두산 밥켓을 떼어내 자회사로 남겨뒀습니다. 

 

두산 밥켓의 지난 3분기 별도 재무제표 기준 매출은 1조 310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1% 증가했습니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128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5% 증가했습니다. 두산중공업보다 수익성이 좋은 것입니다. 

 

2-1. 두산 밥켓

지난 3분기 해외에서 판매가 고르게 늘었습니다. 

주요시장인 북미 지역 외에도 EMEA(유럽, 중동, 아프리카) ALAO(아시아, 라틴아메리카, 오세아니아)등 전 지역에서 매출이 증가했습니다. 

 

2-1-1. 두산 밥켓 관계자 말 인용

북미 시장은 GME(농경, 조경장비) 제품군 판매 호조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달러 기준)이 23.1% 성장했다고 하며 이기간 EMEA 지역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17% ALAO는 매출이 26.2% 늘었다고 합니다. 

업계에선 오는 4분기에도 두산 밥켓의 실적 호조가 계속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미국 주택시장이 여전히 호조세를 보이고 있고 바이든 대통령의 200만 호 주택 건축 공약에 따라 2022년까지 호황이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주문량은 2020년 대배 3배가 증가할 것이라 전망하고 있다고 합니다. 

 

두산중공업 알아보기

 

두산중공업 두산인파코어 관련 내용 알아보기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