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정기관 13개 기준 투자의견 4.0 매수를 주장하고 있으며 키움증권은 목표주가를 100,00원을 직전 목표주가 83,000원 매수(BUY) 미래에셋은 목표주가를 100,000원 직전 목표주가 100,000원으로 동일하지만 매수의견을 이베스트 투자증권은 80,000원으로 목표 주가를 설정하였습니다.
증권사들의 목표주가는 기업의 성장을 추정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앞으로 전망치를 예상 분석하여 내놓은 가격입니다.
이 가격대로 성장할 수도 안 할 수도 있지만 투자하는데 참고 사항으로 여교사 계획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3. 재무정보
세 번째로 회사 재무 상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표를 보시면 기업이 어떻게 운영되고 자금흐름과 부채 관련 정보를 확인하고 영업이익 부분과 분기별 성장하고 있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재무재표 이미지
재무제표를 살펴보면 2018년부터 꾸준한 성장 새를 기록하고 있고 영업이익 또한 동반성장을 이루고 있는 바람직한 성장성을 가지고 있는 기업입니다.
자산 부분에서도 부채비율이 높지 않으며 순이익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재무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재무 상태는 양호하다는 판단입니다.
4. 투자 이유와 전망
향후 2~3년간 진행될 OLED 기술 혁신의 수혜 집중하는 기업
OLED 기술 혁신의 중시에 서있는 기업으로 기술혁신 수혜를 집중될 것.
1) POl-less(편광필름 제고) 삼성디스플레이 최근 추시한 폴더블 제품에 처음으로 Pol-less 구조 적용
밝기 및 두케 개산 단위당 CAPEX 축소 편 괄 필름 제거로 인하여 블랙 PDL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격벽 소재를 사용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덕산 네오룩스는 2분기부터 블랙 PDL공급을 시작하였고 패널 구조의 우의 감안하여 향후 타 어플리 케이션으로 확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2) 8세대 OXIDE RGB: 노트북 태블릿 등 대형 인치 제품 대응을 위한 8세대 RGB기술개발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아더 글라스 크기 및 제품 인치 증가에 따른 유기 내료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것이 투자해야 하는 이유 중 2번째입니다.
3) TANDEM RGB: 아이패드 23년 SINGLE-STACK 적용을 시작하였고 24년에는 TENDEM-STACK 적용, TENDEM-STACK 적용 시 기존 대배 밝기, 수명 개선, RGB 유기재료 수요 증가를 들 수 있습니다.
현대 제뉴인- 산업차량 사업 인수로 사업 중간 지주회사 경쟁력 강화하기 두산인프라코어 재무 구조 개선 - 무상감자·유상증자 실시 예정입니다. “미래 기술 확보 위한M&A적극 추진하여-2025년 글로벌Top5 진입예정”
썸네일 이미지
현대중공업 그룹 건설기계 부문 중간 지주회사인 현대 제뉴인이 ‘2025년 매출10조로 글로벌Top5진입’을 위한 사업 재편에 나섰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현대 제뉴인은25일 출범 이후 첫 통합IR 컨퍼런스를 열고 현대건설기계, 두산인프라코어 등 각 사업 회사 간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한 구체적 추진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사업 재편
▶현대 제뉴인 산업차량 사업 인수
▶현대건설기계 해외 생산 법인 지분 취득
▶두산인프라코어 무상감자 및 유상증자 실시 등으로 이뤄진다.
현대 제뉴인은 우선 오는12월 현대건설기계에서 지게차 등을 생산하는 산업차량 사업을 인수해 직접 투자·육성함으로써 사업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 밝혔습니다.
현대건설기계는 한국조선해양이 보유한 중국·브라질의 건설장비 해외 법인을 인수해 수익성 개선에 나설 방침입니다.
또한 현대코어 모션 A/SA/S 부분을 흡수 합병해 부품 판매로 인한 수익 재투자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예정고
현대중공업 그룹에 새로 편입된 두산인프라코어는 무상감자와 유상증자를 실시해 재무 구조 개선에 나선다고 밝혔습니다.
가장 먼저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순자산, 발행 주식 수 등 주주 가치에 직접적 변동이 없는 5:1 액면가 감액 방식의 무상감자를 결의한다는 방침이며, 두산인프라코어는 이후 연내 최대8000800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도 추진할 계획입니다. 유상증자로 마련한 자금은DICC20% 지분 취득과 차입금 상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 친환경 기술 등 성장을 위한 미래 기술 개발에 투자할 예정이라 회사 관계자가 밝혔습니다.
. 현대 제뉴인은 양사를 컨트롤하는 중간지주회사로 단기·장기적으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분야를 선정해 ‘2025년 매출10조, 세계 시장 점유율 5% 달성을 통해 글로벌Top5Top 5에 진입’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하였습니다.
개선방안 단기적 계획
현대건설기계와 두산인프라코어가 규모의 경제 실현의 일환으로 공동 구매할 수 있는240여 개 품목을 선정함으로써 수익 개선에 나선 다고 하였고
중장기적 계획
양사가 각각 장점을 지닌 제품 상호 보완 판매를 통해 시너지를 극대화해 나갈 예정이며.2025년까지 양사 연구·개발(R&D) 인력을 활용해 굴착기·휠로더 ‘통합 플랫폼’ 개발을 진행하는 등 기술 경쟁력 강화에 나설 계획입니다.
현대 제뉴인
특히 현대중공업 그룹이 중점을 두고 있는 수소 사업과 연계해 건설장비용 수소 엔진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며 자율화, 전동화 등 미래 기술의 선제적 확보를 위해 인수·합병(M&A), 스타트업 투자, 산학협력 등에 나설 방침이라 합니다.
두산인프라코어를 합병한 이후 앞으로 방안을 제신 한 것으로 앞으로 두산인프라코어의 발전과 현대중공업 지주그룹도 발전하기를 기대합니다.
지난 1달간 외국인은 매도세를 유지하고 있고 기관은 매도세를 보이고 있으며 개인은 관망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시세 및 주주현황
주가/전일대비/수익률
110,000원 /+3,500원/+3.29%
52Weeks 최고/최저
197,500원 / 93,100원
액면가
500원
거래량/거래대금
3,437주 / 4억원
시가총액
1,383억원
52주베타
0.97
발행주식수/유동비율
1,257,651주 / 30.06%
외국인지분율
1.35%
수익률 (1M/3M/6M/1Y)
-11.65%/-18.22%/+1.38%/+12.70%
* 수정주가(차트 포함), 보통주 기준, * 52주 베타: 주간 수익률 기준
주주현황
주요주주
보유주식수(보통)
보유지분(%)
CS홀딩스 외 1인
651,998
51.84
자사주
227,217
18.07
매출 민 수주현황
가. 매출실적
용접재료 구분 제품-용접봉 35,209백만 원이고 상품을 135백만 원 매출실적을 보이고 있습니다.
영업(잠정) 실적(공정공시)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이미지
2. 재무정보
2분기 개별기준 잠정 영업이익이 39억 6900만 원으로 전년 동기 35억 6700만 원 대비 11.3% 증가했다고 30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77억 1600만 원으로 전년 동기 152억 4300만 원 대비 16.2% 증가했다. 순이익은 33억 1800만 원으로 전년 동기 25억 1200만 원 대비 32.1% 증가했습니다.
재무재표이미지
(1) 재무위험관리
당사의 주요 금융부채는 매입채무, 단기차입금 및 기타 지급채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금융부채는 영업활동을 위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발생하였습니다. 또한 당사는 영업활동에서 발생하는 매출채권, 현금 및 단기예금과 같은 다양한 금융자산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금융자산 및 금융부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위험은 시장위험, 신용위험 및 유동성 위험입니다. 당사의 주요 경영진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 위험별 관리절차를 검토하고 정책에 부합하는지 검토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투기목적의 파생상품 거래를 실행하지 않는 것이 기본적인 정책입니다.
1) 시장위험 시장위험은 시장 가격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 가치나 미래 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입니다. 시장위험은 이자율 위험, 외환위험 및 기타 가격위험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① 이자율위험 이자율 위험은 미래의 시장 이자율 변동에 따라 예금 또는 차입금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 및 이자비용이 변동될 위험으로서 이는 주로 변동 금리부 조건의 예금과 차입금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이자율 위험관리 목표는 이자율 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순이자비용의 최소화를 추구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데 있습니다.
당사는 당반기말 현재 변동 금리부 조건 차입금 대비 변동 금리부 예금이 많아 이자율 상승 시 순이자비용이 감소합니다. 근본적으로 고금리 차입금 감축, 장/단기 차입구조 개선, 고정 대 변동이자 차입조건의 적정비율 유지, 일간/주간/월간 단위의 국내외 금리동향 모니터링 실시, 대응방안 수립 및 변동금리부 조건의 단기차입금과 예금을 적절히 운영함으로써 이자율 변동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② 외환위험
외환위험은 환율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가 변동할 위험입니다. 당사의 외환위험 관리의 목표는 환율 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손익 변동을 최소화 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데 있습니다. 당사는 해외 영업활동으로 인하여 USD, JPY 및 EUR의 환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③ 가격 위험 당사는 기타 금융자산의 가격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기타 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에 대한 투자는 경영진의 판단에 따라 비경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재무상황은 나쁘지 않았으나 2021년 재무활동 현금흐름이 좋지 않은 상황입니다.
조선업과 건설업이 살아난다면 매출 증대로 이어저 상황이 좋아지겠지만 현상황에서는 지켜보고 있는 것이 좋을듯하고
주가 흐름도 하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상황이 좋아지면 충분히 가치 있는 기업이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배터리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전해질이 고체로 된 2차 전지로,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대용량 구현이 가능합니다. 또 전해질이 불연성 고체이기 때문에 발화 가능성이 낮아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체할 차세대 배터리로 꼽히고 있습니다.
전기를 흐르게 하는 배터리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전해질이 액체가 아닌 고체로 된 차세대 2차 전지(충전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전지)입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2차전지인 리튬이온 배터리의 경우 액체 전해질로 에너지 효율이 좋지만, 수명이 상대적으로 짧고 전해질이 가연성 액체여서 고열에 폭발할 위험이 높습니다.
반면 전고체 배터리는 전해질이 고체이기 때문에 충격에 의한 누액 위험이 없고, 인화성 물질이 포함되지 않아 발화 가능성이 낮아 상대적으로 안전합니다.
또 액체 전해질보다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충전 시간도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짧습니다. 여기다 대용량이 구현이 가능해 정말 충전할 경우 전기차의 최대 주행거리를 800km로 늘릴 수 있습니다. 특히 전고체 배터리는 확장성이 높아 플렉시블(flexible) 배터리로 활용할 수 있어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체할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고체 전해질의 경우 액체 전해질보다 전도성이 낮아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또 2020년 5월 현재까지 전고체 배터리 양산에 성공한 기업은 없으며 배터리 규격 국제 표준화, 수명 예측 기술 개발 등이 필요해 상용화에는 시간이 걸릴 전망입니다.
위)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 / (아래) 전고체 리튬이온 배터리 (Anode : 음극, Cathode: 양극, Liquid electrolyte: 액체 전해질, Solid electrolyte: 고체 전해질) (출처: 게티이미지 코리아)
자동차-배터리 업계, 전고체 배터리 탑재 전기차 상용화 위한 기술 개발
전고체 배터리가 전기차용 차세대 배터리로 급부상하면서 자동차 업체와 배터리 개발 업체 간의 협업이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일본 도요타와 파나소닉은 자동차용 배터리 생산을 위해 '프라임 플래닛 에너지 앤드 솔루션스'를 설립했으며, 독일 폭스바겐은 퀀텀스케이프와 2025년까지 양산 라인을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국내에서는 2020년 5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정의선 현대차 수석부회장이 회동을 갖고 전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 및 사업 협력 방안을 논의한 바 있습니다.
충전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전지로, 친환경 부품으로 주목받으면서 성장세를 거듭하고 있습니다. 이는 충전물질로 무엇을 쓰느냐에 따라 니켈전지, 이온 전지, 리튬이온 전지, 폴리머 전지, 리튬폴리머 전지, 리튬 설파 전지 등으로 나뉘고 있습니다.
목차
충전 및 방전
수명 및 주기 안정성
재충전 시간
활성 구성요소
유형
응용
2차 전지는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전기화학 셀로 구성된 배터리입니다. 2차 전지는 배전 네트워크를 안정화하기 위해 연결된 버튼 셀에서 메가와트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생산되며 납산(lead acid), 니켈, 카드뮴(NiCd), 니켈 수소(NiMH), 리튬 이온(Li-ion), 리튬 이온 폴리머(Li-ion polymer) 등 여러 가지 전극재료와 전해질의 조합이 사용됩니다.
2차 전지의 경우 일반적으로는 일회용 배터리보다 초기 비용이 많이 들지만 교체하기 전 여러 번 충전할 수 있음으로 총 소요 비용과 환경 영향이 훨씬 적은 것이 장점입니다. 일부 2차 전지유형은 일회용 유형과 동일한 크기 및 전압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교환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1.충전 및 방전
충전하는 동안 양극 물질은 산화되고 음극 물질은 환원된다.
이때 양극으로부터 음극으로 흘러 들어가는 전자는 외부 회로의 전류 흐름을 구성됩니다.
전해액은 리튬 이온 및 니켈 카드뮴 전지에서와 같이 전극 사이의 내부 이온 흐름을 위한 간단한 완충 역할을 하거나 납산 셀에서와 같이 전기 화학반응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2차 전지를 충전하는 데 사용되는 에너지는 대개 AC 주전원 전기를 사용하는 배터리 충전기에서 발생하지만, 일부는 차량의 12V DC 전원 콘센트를 사용하게 되어 있다. 소스의 전압은 전류가 흐르도록 강제하기 위해 배터리의 전압보다 높아야 하지만 배터리가 손상될 수 있음으로 너무 높지는 않아야 한다.
충전기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몇 분에서 몇 시간이 걸립니다. 전압 또는 온도감지 기능이 없는 느린 충전기는 낮은 속도로 충전되며, 일반적으로 완충까지 14시간 이상 걸립니다.
급속 충전기는 일반적으로 모델에 따라 2~5시간 이내에 전지를 충전할 수 있으며, 가장 이른 시간은 15분 정도 소요됩니다.
고속 충전기로 셀을 완충할 때 과충전 또는 과열이 발생하기 전에 여러 방법을 통해 충전을 중지해야 합니다. 가장 빠른 충전기는 과열 방지를 위한 냉각 팬을 통합합니다.
급속 충전용 전지 팩에는 충전기가 팩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온도 센서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충전 방식은 배터리에서의 전기화학적 특성에 따라 다릅니다.
예) 일부 배터리 유형은 정전압 소스에서 안전하게 충전할 수 있습니다.
다른 유형은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된 전압에 도달할 때 테이퍼되는 조절된 전류 소스로 충전해야 합니다. 배터리를 잘못 충전할 경우 배터리가 손상될 수 있고, 극단적인 경우 배터리가 과열되어 화재가 발생하거나 폭발할 수 있습니다.
이차 전지의 충전 다이어그램 ( 출처 )
2. 수명 및 주기 안정성
배터리를 잘못 취급하지 않아도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그 수명이 다한 것으로 간주할 때까지 충전 주기가 늘어남에 따라 용량이 손실됩니다.
다른 배터리 시스템은 용량 손실에 대한 각각 다른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 납산 배터리에서는 모든 충전-방전 사이클마다 모든 활성 물질이 플레이트로 복원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배터리 용량이 감소할 만큼 충분한 재료가 손실됩니다. 리튬 이온 유형, 특히 심한 방전 조건에서, 충전 시 일부 반응성 리튬 금속이 형성될 수 있고 이는 다음 방전 주기에 더 이상 참여할 수 없게 됩니다. 밀봉된 전지는 특히 과충전 되거나 고온에서 작동하면 액체 전해질에서 습기를 잃을 수 있기에 충전-방전 주기수명이 단축됩니다.
3.재충전 시간
재충전 시간은 2차 전지로 구동되는 제품 사용자에게 중요한 매개 변수입니다.
충전 전원 공급 장치가 배터리를 충전할 뿐만 아니라 장치를 작동시키는 데 충분한 전력을 제공하더라도 충전 시간 동안 장치가 외부 전원 공급 장치에 연결됩니다.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전기 자동차의 경우 해제 시프트(off-shifts) 시 충전이 허용될 수 있습니다.
고속도로 전기 자동차의 경우, 합리적인 시간에 충전하는 데 급속 충전이 필요합니다.
2차 전지는 임의의 높은 속도로 충전할 수 없습니다. 배터리의 내부 저항으로 인해 열이 발생하고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면 배터리가 손상되거나 파괴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부 유형의 경우, 최대 충전 속도는 활성 물질이 액체 전해질을 통해 확산할 수 있는 속도에 의해 제한됩니다.
충전 속도가 높으면 배터리에 과도한 가스가 생성되거나 부작용으로 인해 배터리 용량이 영구적으로 저하될 수 있습니다. 즉, 많은 예외와 세부 사항을 제외하고는 1시간 이내에 배터리의 전체 용량을 복원하는 것이 빠른 충전으로 간주합니다.
배터리 충전 시스템에는 느린 재충전을 위해 설계된 충전기보다 빠른 충전을 위한 더 복잡한 제어 회로 및 충전 전략이 포함됩니다.
4. 활성 구성 요소
2차 전지의 활성 성분은 양극 및 음극 물질을 구성하는 화학물질과 전해질입니다. 양극 및 음극은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양극은 환원전위를 나타내고 음극은 산화전위를 갖고 있습니다(충전 과정에서). 이러한 포텐셜의 합은 표준 셀 포텐셜 또는 전압입니다.
일차 전지에서 양극(positive electrode) 및 음극(negative electrode)은 각각 캐소드(cathode) 및 애노드(anode)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협약은 가끔 충전식 시스템(특히 리튬 이온 셀을 갖는)에 적용되기로 하지만 이는 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2차 전지에서 양극은 방전 시 캐소드이며 충전 시 애노드입니다. 2차 전지에서의 음극은 방전 시 애노드이며 충전 시 캐소드입니다.
※ 많은 전기화학 및 배터리 번역서에서는 캐소드를 음극 그리고 애노드를 양극으로 표시하고 있지만 이는 독자들의 혼란을 더욱 야기하는 거로 판단되어 여기에서는 한국어로 번역을 하지 않았고, positive electrode를 양극으로 그리고 negative electrode를 음극으로만 번역을 하였습니다. 캐소드와 애노드의 정확한 정의를 반드시 참고하고 숙지하기를 바랍니다.
5. 유형
프랑스 물리학자인 플란테(Gaston Planté)가 1859년에 발명한 아연산 축전지는 가장 오래된 2차 전지입니다.
매우 낮은 에너지 대 중량 비율과 낮은 에너지 대 부피비율에도 불구하고, 높은 서지 전류를 공급하는 능력은 셀이 상대적으로 큰 전력 대 중량 비율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특징은 저비용과 함께 자동차 시동 모터에 필요한 높은 전류를 제공하기 위해 자동차에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합니다.
니켈-카드뮴 배터리(NiCd)는 1899년 스웨덴의 융너(Waldemar Jungner)에 의해 발명되었으며, 그 전극으로 수산화 니켈과 금속 카드뮴을 사용합니다. 카드뮴은 독성 원소이며 2004년 유럽 연합에서 대부분의 용도로서의 사용이 금지되었습니다.
니켈-카드뮴 배터리는 니켈 수소 배터리(nickel-metal hydride, NiMH)로 거의 대체되었습니다.
니켈 수소 배터리는 1989년에 출시되었습니다.이제는 일반 소비자 및 산업 유형이며, 축전지에는 카드뮴 대신 음극용 수소 흡수 합금이 사용됩니다.
1991년에 출시된 리튬 이온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가장 좋고, 사용하지 않을 때 매우 느린 전하 손실 때문에 대부분의 소비자 전자제품에서 선택되었습니다. 그러나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예기치 않게 점화될 위험이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사고는 드물고 적절한 설계, 설치, 절차 및 안전장치가 도입되면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리튬 이온 폴리머 배터리(LiPo)는 무게가 가볍고 약간 더 높은 비용으로 리튬 이온보다 약간 높은 에너지 밀도를 제공하며 어떤 형태로든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장에서 리튬 이온을 대체하지는 못했습니다.
LiPo 배터리는 원격 조종 자동차, 보트 및 비행기에 동력을 공급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LiPo 팩은 특정 R/C 차량과 헬리콥터 또는 무인 항공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소비자 시장에서 다양한 구성으로 최대 44.4V까지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일부 테스트 보고서는 배터리가 지침에 따라 사용되지 않을 때 화재 위험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6. 응용
2차 전지를 사용하는 장치에는 자동차 시동기, 전동 휠체어, 골프 카트, 전기 자전거 및 전동 지게차와 같은 경자동차, 공구가 포함된다.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의 경우 배터리의 비용, 무게 및 크기를 줄이고 수명을 늘리기 위한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10)
전지 충전 발전소는 피크 기간 사용량이 적은 시간에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부하 평준화 및 밤에 사용하기 위해 태양광 발전 정렬 판에서 생성된 전력을 저장하는 것과 같은 재생 에너지 사용에 2차 전지를 사용한다.
소형 2차 전지는 휴대용 전자 장치, 전동 공구, 가전제품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중부하용 전지는 스쿠터에서부터 기관차 및 선박에 이르기까지 전기 차량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들은 분산된 전기 생성 및 독립형 전력 시스템에 사용된다.
참고 문헌
1.https://en.wikipedia.org/wiki/Rechargeable_battery 2.Katerina E. Aifantis et al, High Energy Density Lithium Batteries: Materials, Engineering, Applications Wiley-VCH, 2010 ISBN 3-527-32407-0page 66 3.Fowler, Suzanne (21 September 2016). "Samsung's Recall - The Problem with Lithium Ion Batteries". New York Times. New Yor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September 2016. Retrieved 15 March 2016. 4.Schweber, Bill (4 August 2015). "Lithium Batteries: The Pros and Cons". GlobalSpec. GlobalSpe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March 2017. Retrieved 15 March 2017. 5.all-battery.com: Lithium Polymer BatteriesArchived 7 February 2015 at the Wayback Machine 6."Tattu R-Line 4S 1300mah 95~190C Lipo Pack". Genstattu.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0 August 2016. Retrieved 6 September 2016. 7.'Lithium Polymer Charging/Discharging & Safety Information'. Maxamps. MaxAmps. 2017. Archivedfrom the original on 16 March 2017. Retrieved 15 March 2017. Keep a dry fire extinguisher nearby or a large bucket of dry sand, which is a cheap and effective extinguisher. 8.'Batteries - LiPo'. TrakPower. Hobbico, In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March 2017. Retrieved 15 March 2017. Voltages, cell counts and capacities just right for your kind of racing... Discharge rates from 50C up to 100C... Balanced for longer life and achieving the maximum 4.2V/cell 9.Dunn, Terry (5 March 2015). 'Battery Guide: The Basics of Lithium-Polymer Batteries'. Tested. Whalerock Industri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March 2017. Retrieved 15 March 2017. I’ve not yet heard of a LiPo that burst into flames during storage. All of the fire incidents that I’m aware of occurred during charge or discharge of the battery. Of those cases, the majority of problems happened during charge. Of those cases, the fault usually rested with either the charger or the person who was operating the charger…but not always. 10.David Linden, Thomas B. Reddy (ed). Handbook Of Batteries 3rd Edition. McGraw-Hill, New York, 2002 ISBN 0-07-135978-8 chapter 22.